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Kernel360의 기술세미나에서 시간 복잡도라는 주제로 발표하게 문찬욱입니다.

아마 다들 e2e하면서 DTO로 데이터를 이렇게도 바꿔보고 저렇게도 바꿔보셨을 것 같은데요.

저는 이 과정에서 시간 복잡도를 개선할 수 있다면

이 후, 서비스 성능면에서 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이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시간 복잡도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알고리즘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알고리즘

어떤 문제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여러 과정들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들은 다양하고, 상황에 따라 알고리즘은 모두 다릅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성능이 좋은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알고리즘 성능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의 성능에는 알고리즘 실행 동안 사용되는 메모리와 관련된 공간 복잡도,

알고리즘 실행 시간과 관련된 시간 복잡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메모리의 발전으로 인해 시간 복잡도에 비해 공간 복잡도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졌습니다.


2. 시간 복잡도

입력 데이터 크기에 대한 실행 시간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알고리즘 실행시간에 중요하지 않은 상수와 항을 제외하고 가장 차수가 높은 항을 고려한 점근적 표기법을 사용합니다.

점근적 표기법

1

위 예시를 보시면 알고리즘 실행 시간이 2n^2+3n+1이라면 가장 높은 차수 항인 2n^2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 점근적 표기법에는 최선, 평균, 최악을 고려하는 표기법들이 있습니다.

  • 최선의 경우: Big-Ω 표기법이라 하며 알고리즘이 가장 적게 걸린 시간을 나타냅니다.
  • 평균의 경우: Big-θ 표기법이라 하며 알고리즘이 평균적으로 걸린 시간을 나타냅니다.
  • 최악의 경우: Big-O 표기법이라 하며 알고리즘이 가장 오래 걸린 시간을 나타냅니다.

시간 복잡도는 그 중 최악을 고려하는 Big-O 표기법를 자주 사용합니다.

Big-O 표기법

왜 최악을 고려한 Big-O 표기법을 자주 사용할까요?

Big-O가 다른 표기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 최악의 경우를 알면 여러 알고리즘 중 어디가 문제인지 예측하기 쉽습니다.
  • 알고리즘의 성능이 항상 이 값 이하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최악의 경우에 대한 시간 복잡도를 비교함으로써 다양한 알고리즘을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ww

위 그림은 입력 데이터 크기에 대한 실행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에 나와있는 Big-O는 O(1), O(log n), O(n), O(n log n), O(n^2), O(2^n), O(n!) 가 있습니다.

물론, 그래프에 나와있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Big-O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O(1)과 O(log n)은 excellent과 good, O(n)은 fair, O(n log n)은 bad, 나머지는 horrible에 있습니다.

이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시간 복잡도가 높을수록 입력 데이터 크기에 대한 실행시간이 엄청나게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즉, 저희는 처리하는 데이터가 많다고 할 때, horrible한 알고리즘이 있다면 이쪽을 조금만 더 개선해도 성능면에서 큰 효과가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하게 O(1), O(log n), O(n) 이 3가지만 살펴보겠습니다.

O(1)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언제나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 알고리즘입니다.

public boolean constantTime(int[] n) {
    return n[0] == 0;
}

위 코드를 보시면 입력인 int 배열의 크기에 상관없이 배열의 첫번째 값이 0인지 확인하고 끝나기 때문에 O(1)입니다.

O(log n)

한번 돌 때마다 입력 데이터 크기가 절반이 되는 알고리즘입니다.

대표적으로 이진 탐색이 있습니다.

public int binarySearch(int key, int[] arr, int start, int end) {
    if (start > end) {
        retrun -1
    }
    int mid = (start + end) / 2;
    if (arr[mid] == key) {
        return mid;
    } else if (arr[mid] > key) {
        return binarySearch(key, arr, start, mid-1);
    } else {
        return binarySearch(key, arr, mid-1, end);
    }
}

위 예제 코드는 재귀로 구현한 이진 탐색입니다.

재귀를 한번 할때마다 mid라는 변수를 이용해 입력인 int 배열을 절반씩 줄이기 때문에 O(logn)입니다.

코드만 봐서는 이해하기 힘드실 수 도 있을거 같아서 이진 탐색과 순차 탐색을 비교할겸 gif 하나를 가져왔습니다.

두 알고리즘 모두 숫자 37을 찾는 알고리즘이고 위에가 이진 탐색, 밑에가 순차 탐색입니다.

이진 탐색이 순차 탐색보다 steps가 많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n)

입력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여 처리시간이 늘어나는 알고리즘입니다.

public void linearTime(int[] n) {
    for (int i = 0; i < n.length; i++) {
        System.out.println(i);
    }
}

위 코드는 일반적인 for문인데요, 입력 데이터의 크기만큼 출력해주기 때문에 O(n)입니다.

아까 보신 순차 탐색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알고리즘 속에 알고리즘이 있다면 Big-O는 어떻게 될까요?

두 Big-O를 곱하시면 됩니다!

public void nestedLoop(int[] n) {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n; j++) {
            System.out.println("Kernel360 Let's Go!!");
        }
    }
}

예를 들어 위와 같이 같은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갖는 이중 for문이 있다고 한다면, 시간복잡도는 n과 n을 곱해서 O(n^2)이 되는 것입니다.


3. 마무리

시간 복잡도에 대해 알고 알고리즘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면,

이 gif 파일처럼 같은 문제를 푸는 것이여도 시간 복잡도가 더 나은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더 나은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


4. 참고 블로그

[알고리즘] 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와 Big-O 쉽게 이해하기

시간복잡도 Big-O(빅오)란?